본문 바로가기
교사 퇴직

교사 정년 계산과 공무원 연금 정보

by every-saturday 2025. 3. 14.

 

 

1. 교사 정년 연령

 

교육공무원법 제47조 제1항에 따르면 교육공무원, 즉 교사의 정년은 만 62세까지입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국공립대학교의 교수, 부교수, 조교수 등의 경우에는 만 65세까지가 정년입니다. 

대부분 교육공무원의 정년을 잘 알고 계시더라고요. 앞으로 정년이 만 65세까지로 개정된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언제부터 시행될지는 모르겠습니다.

 

 

 

2. 교사 정년 계산하는 법

 

정년이 만 62세라고 한다면, 만 62년 몇 월까지 근무를 할 수 있을지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

퇴직하시는 선배교사들을 보면 8월 31일 자로 그만두시는 분도 계시고,

2월 28일이나 29일로 그만두시는 분들도 계셨거든요.

 

교사의 정년을 계산하는 방법 쉽게 알려드려요.

예를 들어 본인의 생년월일이 1963년 05월 19이라고 가정한다면, 지금 나이가 만 61세이며 올해 2025년 생일인 5월 19일이 지나면 만 62세가 됩니다. 그래서 정년의 날짜는 8월 31일이 됩니다.  만약 생일이 1963년 9월 19일이라면 정년의 날짜는 그다음 해인 2026년 2월 말일이 됩니다.

 

정리하면,

본인 생일이 8월 31일 전이면 정년이 상반기인 8월 31일 자로,

본인 생일이 그 이후라면 정년은 다음 해 2월 28일 혹은 29일 자가 되는 것입니다.

 

 

 

 

 

3. 교사 정년계산기

 

교사 정년 계산하는 좋은 사이트가 있어서 2곳 링크드립니다.

둘 다 도움 되고 참 좋은데요. 자신의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오늘 나이, 정년 날짜, 남은 근무년수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쪽 링크는 연금까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런 편리한 계산시스템 만드신 분 존경스럽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분은 안전한 사이트인 것을 확인하였으니 편하게 접속하셔서 계산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s://smartree.tistory.com/130

 

만나이 및 교원(교사) 정년 계산기

교원 정년 계산기- 교원용 (교사, 교감, 교장) - 날짜 입력 항목 결과 생년월일 오늘 날짜 만나이(오늘기준) 만 62세되는 날 ..

smartree.tistory.com

 

https://sciencej.cafe24.com/html5/pension/pension.html

 

pension

 

sciencej.cafe24.com

 

 

 

 

4. 공무원 연금 관리

 

교사로 10년 이상 근무한 분은 공무원 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연금수령시기

연금 관련 규정이 개정되어 현재 퇴직 시기에 따라 연금 수령 개시 시기가 다릅니다.

1996.1.1. 이후 임용시 퇴직연도별로 개시연령이 달라집니다.

2025~26년 퇴직 시 만62세,
2027~29년 퇴직 시 만63세,
2030~32년 퇴직 시 만64세,
2033년 이후 퇴직 시 만65세 개시가 됩니다.

 

 

2) 연금 수령액수

연금 수령액수는 근무 기간에 따라 다르니, 정확한 금액은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재직기간이 13년으로, 퇴직연금 예상액이 80만 원이 채 되지 않습니다.

오래 근무하셨는 선생님들께서는 연금 개정 전이라 수령액수가 큽니다. 

30년을 재직하셨으면 약 세후 400만 원, 40년을 재직하셨으면 약 세후 500만 원 정도가 됩니다.

 

 

 

 

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 링크가 있으니, 본인의 예상 연금을 확인해 보시면 좋겠네요.

 

https://www.geps.or.kr/index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연금공단

www.geps.or.kr

 

 

3) 연금의 구분

연금에는 3 종류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첫 번째는, 약 만 62세 이후부터 사망 시까지 매달 받을 수 있는 연금

두 번째는, 연금대신 일시금으로 당장 받을 수 있는 금액

세 번째는, 퇴직수당입니다. 6개월 이상 근무하면 받을 수 있는 것이죠? 

 

다만, 휴직 중인 선생님이시라면 중단된 기여금 납부금액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기여금을 소급 납부한 후에 연금을 수령하실 수 있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최근 휴직이 4년이라 기여금을 내게 되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된다는 슬픈 현실을 접했습니다.

기여금은 매년 상승하니 가능하다면 매년마다 정산을 하시는 것이 훨씬 이익입니다.

 

 

4) 연금의 활용

오래 재직한 선생님들은 당연히 연금을 매달 수령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연금 개정 이후의 30-40대의 선생님들은 과연 64세, 65세 이후에 수령받을 수 있는 적은 연금이 나을지, 아니면 일시금으로 받는 것이 나을지 고민이 되실 것 같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로 고민이 되어 아직 결정을 못했답니다. 

일시금으로 받아서 투자를 한다면 더 큰 금액으로 늘어날 가능성도 크거든요.

저는 조금 더 심사숙고 후에 결정하겠습니다.

연금은 퇴직 후 5년 안에 결정하면 된다고 하니 천천히 생각해 보셔도 될 것 같아요.

 

저처럼 꽤나 이른 나이에 의원면직하게 된 선생님들도 좋은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지금까지 교사의 정년과 연금에 대하여 적어보았습니다. 남은 하루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