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 교사 의원 면직 후 할 일: 교직원 공제회 저축 및 대출 정리, 연금 확인 등 의원면직이라는 것이 스스로 사직을 한 것이기 때문에 면직 후에도 스스로 일을 처리해야 합니다.정년퇴직자나 명예퇴직자를 위한 강의가 있는 것은 종종 봤으니 그런 특강을 미리 듣고 삶을 계획해 봐도 좋을 것 같고요.그런 정보 없이 대체 뭘 어떻게 해야 막막하시다면 걱정하시지 마세요.제가 가장 중요한 것 위주로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공무원연금 확인 및 계획 본인의 연금을 먼저 확인하신 후 이후의 삶을 철저히 계획하시는 것이 1순위입니다.( 윗글에서 공무원 연금 관련으로 포스팅하였으니 우선 확인해 보세요.) 1) 공무원연금 일시금 vs 연금 선택 후 수령 계획 세우기재직 기간 동안 퇴직 이후의 경제 계획을 확실히 세운 분들이라면 걱정 없으시겠지만, 정년이 62세~65세인 교사 중에 평균 수명 100.. 2025. 3. 15. 교사 정년 계산과 공무원 연금 정보 1. 교사 정년 연령 교육공무원법 제47조 제1항에 따르면 교육공무원, 즉 교사의 정년은 만 62세까지입니다.다만 예외적으로 국공립대학교의 교수, 부교수, 조교수 등의 경우에는 만 65세까지가 정년입니다. 대부분 교육공무원의 정년을 잘 알고 계시더라고요. 앞으로 정년이 만 65세까지로 개정된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언제부터 시행될지는 모르겠습니다. 2. 교사 정년 계산하는 법 정년이 만 62세라고 한다면, 만 62년 몇 월까지 근무를 할 수 있을지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퇴직하시는 선배교사들을 보면 8월 31일 자로 그만두시는 분도 계시고,2월 28일이나 29일로 그만두시는 분들도 계셨거든요. 교사의 정년을 계산하는 방법 쉽게 알려드려요.예를 들어 본인의 생년월일이 1963년 05월 19이라고 가정한다면,.. 2025. 3. 14. 교육 공무원 (교사) 의원면직 개념 및 제출 서류 아주 힘들게 공부한 후 시험에 패스하여 원하던 공무원이 되었지만, 사직을 고려 중인 분들 꽤 많이 계시죠?아마도 노력 대비 적은 연봉과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이 큰 원인이 아닐까 합니다. 의원면직에 대하여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1. 교육공무원 사직의 종류(교육) 공무원이 일을 그만두게 되는 것에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종류가 있습니다. 1) 의원면직공무원이 자의로 사직서를 신청하고, 그것이 수리되어 사직이 된 경우를 말합니다.즉, 스스로 퇴직을 원할 경우 이 방법을 사용되며, 일반 회사 근로자들의 사직 신청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2) 직권면직여러 이유로 임용권자가 면직 처분을 내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해고당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교육공무원법에 따르면 대부분 큰 문제가 있.. 2025. 3. 14. 이전 1 다음